본문 바로가기
LIFE

ISA 계좌 장점, 단점 총정리

by 요리보고의 정보창고 2023. 3. 27.

최근 자산시장 분위기가 좋지 못해서 일반적인 투자 방법보다는 투자 자체에서 혜택을 볼 수 있는 방법들이 주목을 받고 있어요.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개인연금계좌처럼 저축을 하면서 세제 혜택도 볼 수 있죠.

ISA란?

오늘 소개하는 상품은 ISA계좌입니다. ISA라는 말을 자주 들어보셨겠지만 정확한 의미를 잘 모르는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ISA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로 하나의 통장으로 예금, 적금, 주식, 펀드, ELS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계좌입니다.

일반적인 계좌와 같지만 다양한 상품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는 만능 통장이라고 이해하시면 가장 쉽습니다.

가입조건

ISA계좌 가입 조건을 먼저 알아볼게요.

먼저 만 19세 이상 or 만 15~19세 근로소득이 있는 사람 중

직전 3년간 금융종합소득과세 대상자가 아닌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합니다.

ISA 계좌 가입 조건이 까다롭진 않지만 조건이 있는 만큼 분명한 혜택이 존재하는데요.

또한 모든 ISA계좌에 막 가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품별로 정해진 소득 제한이 있습니다.

ISA계좌는 투자를 하는 동안에는 세금 부과가 계속 연기가 되다가 계좌만기시점 세금을 정산하게 됩니다.

장점

ISA 계좌 장점 첫 번째는 이월과세입니다.

의무가입기간은 3년으로 최대 5년 만기로 가입할 수 있으니 투자를 하다가 5년 뒤에 세금을 한 번에 낸다고 보시면 됩니다.

​ 일단 이월과세가 된다는 것은 배당금 등 발생하는 세금을 절약해서 투자를 하니까 재투자 효과가 배로 증가하겠습니다.

ISA 계좌 장점 두 번째는 비과세입니다.

여기서 추가로 소득 중 200만 원까지는 비과세로 분류되며 200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9.9%(지방소득세 포함) 분리과세가 적용되니 종합소득세 기준에 아슬아슬하신 분들은 특히 더 도움이 되실 것 같아요.

ISA계좌 종류

다시 ISA계좌 종류에 대해서 설명해 볼게요.

먼저 ISA계좌는 서민형과 일반형이 있어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나이와 종합소득과세대상자 조건은 똑같고요.

소득구분에 따라서 다릅니다. 일반형은 소득 제한 없음, 서민형은 총 급여액 5천만 원 이하, 종합소득 3,800만 원 이하 가입 가능합니다.

차이는 비과세 한도에서 차이가 나는데요. 누구나 가입하는 일반형은 200만 원, 서민형은 400만 원 한도로 적용 가능합니다.

소득 조건만 충족한다면 무조건 ISA 서민형에 가입해야겠죠?

ISA계좌를 더 크게 본다면 신탁형 중개형 일임형으로도 나눌 수 있습니다.

 

일임형, 신탁형은 말 그대로 전문가에게 내 ISA 계좌를 맡기고 신탁수수료를 지불하는 조건으로 운용을 해주는 상품이며

ISA계좌 중개형은 내가 직접 모든 상품을 운용하는 조건으로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ISA계좌 중개형도 대부분의 상품에 투자가 가능하지만 해외주식 투자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만 그 외의 상품들은 투자에 문제가 없고 신탁수수료 없이 계좌 운영이 가능해서 대부분이 선택하는 방식이에요.

2023년부터는 ISA 제도 개선이 이루어지면서 국내 주식, 펀드 등 모두 소득 전액 비과세에 해당합니다.

대주주요건 등이 무관하기 때문에 더욱 주목을 받겠지만 ISA 계좌는 분명한 단점도 존재하는데요.

ISA계좌 단점

ISA계좌 단점으로는 먼저 의무 가입기간 동안 이체 등 출금이 불가능합니다.

의무가입기간이 3년으로 줄었지만 여전히 긴 편이고 해지한다면 받을 수 있는 세제혜택이 모두 무효가 된다는 점 기억하셔야 합니다.

 

또 환매를 하는 날 이익이 모두 잡히기 때문에 갑자기 발생한 큰 소득으로 건보료 인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두 개의 단점은 분명히 주의하신 후 ISA 계좌 가입을 진행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세제혜택 등 분명한 장점도 존재하니 장기투자, 저축을 희망하신다면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