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방법은?
NPS 사이트에 들어가서 '내 연금 알아보기'라는 버튼을 누릅니다.
이곳에서 가입, 납부내역 조회를 누르면 인증 후에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납부액조회로 본인의 총 납부내역과 함께 연금보험료 상세내역에 대해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본인의 납부 연수가 부족하다면 추납(추후납부) 제도를 활용해서 납부 기간을 늘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계산 방법은?
실제 예상 연금액 조회
마찬가지로 '내연금 알아보기'서비스에서 '예상연금액 조회' 버튼을 누르면 본인의 납부액을 기준으로 예상 연금액에 대해서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계산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세전, 세후에 따른 금액과 동시에 수급 개시 년월과 예상 총 납부월수 등 다양한 것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상 연금 간단 계산
내 연금 알아보기 서비스에서 월 납입보험료만 입력하면 10년 이상 납입 후 예상연금액에 대해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상 연금 간단 계산'이라는 버튼을 누릅니다.
본인의 월 납입보험료만 입력하면 10년 가입 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과 함께 15년, 20년, 25년, 30년, 35년, 40년 금액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장애, 유족연금에 따른 금액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표는?
소득월액 평균값 200만 원~400만 원
가입기간 중 소득월액 평균값이 200~400만 원일 때 빨간색 네모 쳐놓은 것은 10년 이상부터 15년, 20년, 5년 단위씩 40년까지의 예상수령액입니다.
예를 들어 가입기간 소득월액 평균값이 200만 원일 때 10년을 가입한다면 월 예상 평균 수령액이 240,230원입니다.
소득월액 평균값 410~553만 원
가입기간 중 소득월액 평균값이 410~553만 원일 때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입니다. 특히 소득월액 평균값은 상한선이 5,530,000원이며 이때 납부액은 497,700원입니다.
만약 소득월액 평균값이 410만 원인 사람이 10년을 냈다면 예상 수령액은 347,980원입니다. 반대로 최대 상한 구간인 5,530,000원에 해당되는 사람이 40년을 납부했다면 수령액은 1,652,390원입니다.
국민연금 수령 나이는?
● 가입기간이 무조건 10년 이상, 61세 이상
무조건 가입기간 10년 이상을 채워야 합니다. 만약 가입기간을 채우지 못할 거 같으면 미리 추납 등을 통해서 기간을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61세 이상부터 가능하지만 출생 연도에 따라 다릅니다.
국민연금 수령 나이 세부내용
① 1953년부터 56년생은 노령연금은 61세, 조기노령은 56세
② 1957년부터 60년생은 노령은 62세, 조기노령은 57세
③ 1961년부터 64년생은 노령은 63세, 조기노령은 58세
④ 1965년부터 68년생은 노령은 64세, 조기노령은 59세
⑤ 1969년생 이후는 노령 65세, 조기노령 60세
조기노령연금 특징은?
● 일찍 청구할수록 금액은 더 낮아짐.
청구 당시 연령에 따라서 지급률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자신이 받을 수 있는 나이보다 5년 더 일찍 신청하면 70%만 받을 수 있고, 4년 빠르게 하면 76%입니다. 3년 전은 82%, 2년 전은 88%, 1년 전은 94%입니다. 가능하면 자신의 나이 때 받는 것이 좋습니다.
노령연금 청구 방법은?
전국 국민_연금공단 지사 어디에나 가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내방하거나 우편, 팩스, 인터넷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특히 신청 시에는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자가 신청합니다. 구비 서류로는 지급청구서, 신분증, 혼인관계 증명서에 대한 상세 증명서, 예금계좌가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