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ALTH

당화혈색소 정상치 및 낮추는 방법

by 요리보고의 정보창고 2022. 11. 3.

오늘은 당화혈색소 정상수치와 당화혈색소 낮추기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당화혈색소 정상수치, 낮추기 정확하게 알아보기' 포스팅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당화혈색소(A1c)?

당화혈색소는 혈액 내에 산소를 운반해 주는 역할을 하는 적혈구 내의 혈색소에 당이 결합된 상태를 말합니다.

 

혈당이 높게 유지되었을 경우에 당화혈색소 수치도 높아져 2~4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수치를 반영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혈당 조절 정도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검사입니다.

 

결국 당화혈색소 검사는 혈색소가 어느 정도로 당화 되었나보는 검사입니다.

 

적혈구내에는 혈색소(헤모글로빈)이라고 하는 산소운반에 중요한 단백질이 들어있는데 혈당이 높아지면 포도당의 일부가 혈색소에 결합하게 되고 이것을 당화혈색소라고 하며 따라서 혈당이 높을수록 당화혈색소는 점점 높아집니다.

 

혈당검사가 매일의 혈당상태를 알 수 있는 반면에 당화혈색소는 적혈구가 포도당에 노출된 기간과 혈중 포도당 농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측정한 시간보다 과거 6주~10주 동안의 평균 혈당 조절 상태를 반영합니다.

 

 

 

 

당화혈색소(A1c) 검사

당화혈색소 검사는 보통 팔의 혈관에서 채혈합니다.

 

검사결과가 식사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금식은 필요하지 않지만 다른 혈액검사와 보통 함께 시행하므로 함께 시행되는 검사에 맞춰 준비합니다.

 

공복 혈당이나 식후 2시간 혈당 수치와 비교했을 때, 당화혈색소는 식사나 신체활동량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과거 혈당의 평균치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혈당의 변동폭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혈당 조절이 안되어 하루 중에도 저혈당과 고혈당을 넘나들어도 그 변화는 알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제한점 때문에 공복 혈당 검사를 함께 시행하여 혈당 조절 판단을 하게 됩니다.

 

 

 

 

 

당화혈색소 수치는 당뇨병, 당뇨병성 케톤산증, 신부전 등의 질병이 있을 때 증가하며, 장기간 저혈당 상태, 이상 헤모글로빈증, 빈혈이 있으면 감소합니다.

당화혈색소(A1c) 정상수치

정상인의 경우 당화혈색소 수치는 4~6%이며, 당뇨환자의 경우는 당화혈색소 정상 수치는 6.5~7%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당화혈색소 수치가 낮을수록 합병증 발생이 적어지고 당화혈색소를 1% 감소시키면 미세혈관 합병증을 30~50%까지 감소시킬 수 있어 당뇨병 치료의 혈당 지표로 사용되며 당화혈색소 1%의 상승은 평균 혈당 35mg/dL 정도 올라갑니다.

 

당뇨병으로 진단받고 인슐린 치료 중이라면 매일 자가 혈당 측정기를 통해서 혈당 조절 상태를 파악해야 하며 혈당 조절이 잘 되고 있다면 3~6개월마다 당화혈색소 검사를 해야 하고 조절이 잘 안 된다면 더욱 자주 검사를 해야 합니다.

정상 혈당수치

  • 저혈당 수치 : 공복(아침 식전) 50mg/dl 이하, 식후 2시간 50mg/dl 이하는 당뇨 판정(의식불명 주의)
  • 정상 수치 : 공복 80~110 mg/dl, 식후 2시간 80~140 mg/dl 은 정상인
  • 허용한계 수치 : 공복 110~125 mg/dl, 식후 2시간 140~180 mg/dl은 내당능 장애인
  • 고혈당 수치 : 공복 125mg/dl 초과, 식후 2시간 180 mg/dl 초과는 당뇨 판정(합병증 주의)

 

당화혈색소(A1c) 낮추기

당화혈색소 수치를 낮추기 위해서는 평소 혈당 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화혈색소를 낮추기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으로 비만하지 않게 적정 체중을 유지해야 하고 너무 짠 음식과 당도가 높은 과일은 당화혈색소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적당한 양을 섭취하고 싱겁게 먹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우리가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인스턴트, 패스트푸드도 혈당을 급격하게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제하여 알맞은 섭취 열량을 지키고 균형 있는 영양을 섭취하면서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당화혈색소 정상수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산소 운동, 산책, 저탄수화물 식이 섭취, 채소, 육류의 살코기 섭취 등으로 식후 혈당 수치를 억제하는 것입니다.

 

또한, 꾸준하고 정기적인 검사를 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당화혈색소는 무엇인지 그리고 당화혈색소 검사, 당화혈색소 정상수치, 당화혈색소 낮추기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그럼 여기서 이만, '당화혈색소 정상수치, 낮추기 정확하게 알아보기' 포스팅을 마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