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15일을 마지막으로 2023년 국가장학금 신청 기간이 종료되었습니다. 더불어 22일까지였던 서류제출 기간도 마감된 것으로 보이네요. 하지만 돌아보는 의미에서 국가장학금의 소득분위 기준과 함께 장학금 신청, 서류 제출까지 끝났으니, 실제 장학금 지급일이 언제인지까지 가볍게 둘러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기준
우선은 2월부터 접수를 시작했고, 현재는 마감된 2023년 국가장학금의 소득분위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공식홈페이지에서는 국가장학금 소득분위를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이라 표기하고 있는데, 다음 사진이 홈페이지에서 발표한 소득분위 화면입니다.
2023년 1학기, 학자금 지원구간 경곗값은 2023년 정부에서 발표한 ‘기준중위소득’인 5,400,964원을 기준으로 산정된 것으로 1구간부터 10구간까지 총 10단계로 나눠 놓은 값입니다.
중위소득 기준 30%에 해당하는 1구간 1,620,289원 이하부터 시작하여 중위소득과 동일한 5구간 5,400,964원, 중위소득의 200%인 8구간 10,801,928원, 300%인 16,202,892원, 마지막으로 10구간 16,202,892원 (초과)까지로 구성되어 있네요. 이 중에서 8구간 이내에 속한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학자금 지원이 이뤄진다는 것은 다들 아시죠?
국가장학금 온라인 신청 절차를 진행하시면서 가구원 (부모 혹은 배우자 등등)에 대한 정보제공 동의를 하셨을 텐데, 그렇게 신청자의 정보제공 동의를 얻어 정부기관에 신고된 가구구성원 전원의 소득 및 재산을 확인, 소득인정액을 산정하게 됩니다.
그렇게 확인된 신청자의 소득분위를 기준으로 한국장학재단 측에서 학자금 지원구간을 결정짓고 신청자에게 통보하는 방식으로 국가장학금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2. 국가장학금 지급일 체크
그럼 며칠 전인 3월 15일 이내에 2023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 신청을 마친 분들이 실제 국가장학금을 지급받는 날은 언제일까요?
2023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 지급일은 대학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3월 중순부터 지급을 시작합니다.
격주 즉, 2주에 한 번씩 지급되기 때문에 대학마다 정확한 지급일을 확인할 수는 없지만 3월 중순부터 장학금 지급을 시작한다는 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소득분위별 국가장학금 지금액
그럼 실제로 지급받게 될 국가장학금의 액수는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국가장학금 신청이 시작됨과 동시에 교육청에서 발표한 홍보자료를 보시면 잘 정리된 표 덕분에 한눈에 알아보기 쉬운데요.
보시는 것처럼 셋째 이상의 다자녀의 경우 신청자의 소득분위가 기초/차상위 구간부터 8구간 내에 속한다면 교육비 전액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다자녀 중에서도 첫째와 둘째 자녀의 경우 기초/차상위는 700만 원, 1~3구간은 520만 원, 4~8구간은 45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요즘 같은 시기에 3자녀… 부모님과 자녀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더불어 소득분위를 기준으로 1~3구간은 520만 원, 4~6구간은 390만 원 마지막으로 7~8구간은 350만 원을 2023년 1학기 국가장학금 지원금액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장학금 액수가 가장 적은 350만 원이라고 하더라도 그걸 벌기 위해 일을 하는 시간을 생각하면 큰돈이니, 장학금을 받을 수 있는 구간에 속한 학생이라면 꼭 신청하셨기를 기원합니다.
이렇게 2월부터 신청자 접수를 시작했던, 2023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의 소득분위 기준과 실제 국가장학금의 지급일을 한번 알아봤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국가장학금 신청자 모두 원하신 만큼의 금액을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