눕거나 앉아있다가 갑자기 일어날 때 머리가 핑 도는 듯한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으신가요?
이는 기립성 저혈압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일어날 때 자율신경계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해 혈압이 갑자기 저하되어 발생하는데요. 정상인 경우 갑자기 일어나더라도 자율신경계가 적절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혈압 저하 현상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고혈압보다 위험하다는 기립성 저혈압은 도대체 어떤 질환일까요?
기립성 저혈압

우선 저혈압은 혈압이 정상 수치보다 낮은 상태로 100~60mmHg 이하의 경우에 저혈압으로 진단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누워 있을 때와 일어났을 때 혈압을 측정해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완기 혈압 10mmHg 이상 떨어진 경우 기립성 저혈압으로 진단합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어지럼증, 현기증, 전신 무력감, 두통, 구역질, 대소변이 마려운 느낌 등이 나타나며 잠시 휴식을 취하면 금세 호전되지만 심할 경우 실신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심장 기능이 저하되었거나 약물 복용, 만성 질환, 자율신경 이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 vs 빈혈 차이점

기립성 저혈압과 빈혈은 증상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지만 뚜렷한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빈혈은 혈액 속 적혈구가 부족하거나 산소 공급 기능에 문제가 생긴 상태이고 갑작스러운 자세 변화가 아닌 일상생활에서 어지럼증을 느끼곤 합니다.
저혈압은 적혈구의 수치는 정상이며 대부분 갑자기 일어났을 때 증상이 나타납니다. 혈액 검사를 통해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확인하면 기립성 저혈압과 빈혈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 진단 및 치료

안정된 혈압을 측정하기 위해 혈압검사를 진행하며 충분한 시간 동안 앉아있거나 누워있을 때 혈압을 측정합니다. 이후 즉시 일어나 3분 내로 혈압을 측정해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완기 혈압 10mmHg 이상 떨어지는지 검사합니다.
기립경 검사는 침대와 같은 테이블에 몸을 고정시킨 후 머리가 발보다 아래를 향하게 서서히 기울이면서 맥박과 혈압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이후 약물을 투여해 관찰하게 됩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증상이 무조건 나타난다고 해서 모두 치료하지 않고 먼저 원인이 되는 질환을 찾습니다.
해당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며 상담을 통해 약물을 조절하거나 저혈압 방지 약물 투여, 수액 공급 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개인의 평소 생활 습관이나 식습관 개선이 동반되어야 합니다.
댓글